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공학/알고리즘

[알고리즘 / Kotlin] 프로그래머스 - (8주차)최소직사각형

by tempus 2021. 10. 1.
반응형

최소직사각형

문제 설명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지갑을 만들기 위해 디자인팀은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조사했습니다.

아래 표는 4가지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signcard
명함

가장 긴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가 각각 80, 70이기 때문에 80(가로) x 70(세로) 크기의 지갑을 만들면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번 명함을 가로로 눕혀 수납한다면 80(가로) x 50(세로) 크기의 지갑으로 모든 명함들을 수납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지갑 크기는 4000(=80 x 50)입니다.


모든 명함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나타내는 2차원 배열 siz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모든 명함을 수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갑을 만들 때, 지갑의 크기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size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sizes의 원소는 [w, h] 형식입니다.
    • w는 명함의 가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h는 명함의 세로 길이를 나타냅니다.
    • w와 h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inputoutputex

내 풀이

우리는 주어진 명함들을 넣을 수 있는 최소의 지갑 사이즈를 구해야 합니다. 일단 주어진 조건 중에 중요한 조건이 하나 있는데 지갑에 명함을 넣을 때 회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명함의 가로가 세로가 될 수도 있고 세로가 가로가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각각 가로, 세로가 될 수 있는 최대 값을 구하면 됩니다. 하지만 가로, 세로 중 필연적으로 하나의 길이는 작거나 같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가로, 세로를 새롭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 가로 : 명함의 가로, 세로 길이 중 길이가 긴 것 중에 최대 값
  • 세로 : 명함의 세로, 가로 길이 중 길이가 짧은 것 중에 최대 값

 

코드로 풀면 명함들을 순차적으로 접근하여 가로, 세로 길이 비교하여 짧은 것은 짧은 것끼리 긴 것은 긴 것끼리 비교하여 최대 값들을 구하고 최종적으로 구한 값들을 곱해주면 원하는 지갑의 면적이 나옵니다.

 

📝 코드

class Solution {
    fun solution(sizes: Array<IntArray>): Int {
        var big = 0
        var small = 0 
        
        sizes.forEach{
           if(it[0] > it[1]){
               if(big < it[0]) big = it[0]
               if(small < it[1]) small = it[1]
           }else{
               if(big < it[1]) big = it[1]
               if(small < it[0]) small = it[0] 
           }
        }
              
        return big * small 
    }
}

 

다른 사람의 풀이

예제 1

class Solution {
    fun solution(sizes: Array<IntArray>): Int {
        var a = 0
        var b = 0

        for (array in sizes) {
            array.sort()
            if (array.isNotEmpty()) {
                a = array.first().coerceAtLeast(a)
                b = array.last().coerceAtLeast(b)
            }
        }
        return a * b
    }
}

조금 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맞게 작성되었습니다.

coerceAtLeast()

fun <T : Comparable<T>> T.coerceAtLeast(minimumValue: T): T

coerceAtLeast() 값이 지정된 minimumValue보다 작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println(10.coerceAtLeast(5)) // 10
println(10.coerceAtLeast(20)) // 20

 

배운 점

처음 이 문제를 보았을 때는 가로, 세로 길이들을 따로 배열로 저장하려고 했는데 이렇게 접근하니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그래서 다시 천천히 다시 생각을 해보고 풀어보니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문제를 풀기에 앞서 문제에 대해 명확한 이해를 하고 풀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처음에는 여러 변수를 생성하고 코드가 복잡할 수 있지만 이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지고 풀었다면 충분히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프로그래머스에서 문제를 풀 때, 현재 언어의 버전도 잘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서 최대 값을 구할 때 보통 저는 maxOrNull()를 사용하는데 프로그래머스의 kotlin 버전에서는 제공하지 않아서 조금 애를 먹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코딩 테스트에 들어가면 해당 언어 버전의 문서를 제공하니까 실제로 테스트 보실 때 한 번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


loading